십자가, 모든 경계를 허무는 수직과 수평의 진리 (갈라디아서 2장)
십자가, 모든 경계를 허무는 수직과 수평의 진리 갈라디아서 2장 10 다만, 그들이 우리에게 바란 것은 가난한 사람을 기억해 달라고 한 것인데, 그것은 바로 내가 마음을 다하여 해 오던 일이었습니다. 14 나는 그들이 복음의 진리를 따라 똑바로 걷지 않는 것을 보고, 모든 사람 앞에서 게바에게 이렇게 말하였습니다. "당신은 유대 사람인데도 유대 사람처럼 살지 않고 이방 사람처럼 살면서, 어찌하여 이방 사람더러 유대 사람이 되라고 강요합니까?" 16 그러나 사람이, 율법을 행하는 행위로 의롭게 되는 것이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으로 의롭게 되는 것임을 알고, 우리도 그리스도 예수를 믿은 것입니다... 율법을 행하는 행위로는, 아무도 의롭게 될 수 없기 때문입니다. 20 나는 그리스도와 함께 십자가에 못박혔습니다. 이제 살고 있는 것은 내가 아닙니다. 그리스도께서 내 안에서 살고 계십니다. 내가 지금 육신 안에서 살고 있는 삶은, 나를 사랑하셔서 나를 위하여 자기 몸을 내어주신 하나님의 아들을 믿는 믿음 안에서 살아가는 것입니다. 1. 진리의 식탁에서 벌어진 영적 위선 안디옥 교회의 식탁은 단순한 식사 자리가 아니었다. 그곳은 유대인과 이방인이 그리스도 안에서 한 가족이 되었음을 선포하는 살아있는 예배였다. 그러나 예루살렘에서 온 이들의 시선을 의식한 베드로가 슬그머니 이방인들과의 식탁에서 물러나는 순간, 그 예배는 무너졌다. 그의 행동은 복음의 진리를 정면으로 배반하는 행위였다. 십자가가 허물어 버린 율법의 담을 교회의 수장인 그가 두려움이라는 벽돌로 다시 쌓아 올린 것이다. 이는 '정무적 판단'이라는 이름으로 포장된 명백한 영적 위선이었다. 바울이 모든 사람 앞에서 베드로를 책망한 것은 개인적인 감정 때문이 아니었다. 그 식탁 위에는 교회의 본질, 즉 십자가 복음의 진리가 통째로 걸려 있었기 때문이다. 베드로의 후퇴는 "복음만으로는 부족하고 유대인의 관습(율법)이라는 알파(α)가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