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애굽기 9장: 파멸의 자리를 연단의 기회로 바꾸시는 신비
출애굽기 9장: 파멸의 자리를 연단의 기회로 바꾸시는 신비 "그래도 임금님과 임금님의 신하들이 주 하나님을 두려워하지 않으리라는 것을 나는 알고 있습니다. ... 주님께서 모세를 시켜 말씀하신 대로, 바로는 고집을 부리며 이스라엘 자손을 내보내지 않았다." (출애굽기 9:30, 35, 새번역) 모세는 이미 알고 있습니다. 이 경고가 파라오에게 통하지 않으리라는 것을, 그리고 이 모든 과정이 또다시 거절로 끝나리라는 것을 말입니다. 그럼에도 그는 하나님의 명령을 따릅니다. 결과가 뻔히 보이는 상황에서 말씀을 전해야 하는 무력감, 어쩌면 지루하고 고통스러운 반복일 뿐인 그 길을 모세는 묵묵히 걸어갑니다. 초기의 모세가 결과에 일희일비했다면, 지금의 모세는 자신의 판단을 멈추고 하나님의 도구가 되는 거룩한 수동성을 배운 것입니다. 이 장에서 우리는 다시 한번 파라오를 통해 인간성의 극한을 마주합니다. 파라오의 문제는 무지가 아닙니다. 그는 재앙을 통해 하나님의 능력을 충분히 인지했습니다. 그러나 그의 굳은 마음은 지적 동의를 넘어 의지적 굴복을 거부합니다. 하나님이 누구인지 몰라서가 아니라, 그분의 존재를 인정하는 순간 자신이 주인의 자리에서 내려와야 함을 알기에, 그는 하나님의 존재를 밟고 일어서려 합니다. 파라오는 괴물이 아니라 하나님 없이 스스로 왕이 되려는 모든 아담의 후예, 곧 우리 인간의 전형입니다. 여기서 묵직한 질문이 솟아오릅니다. "만약 파라오의 자리에 나를 대입한다면, 하나님은 나를 어떻게 다루실 것인가?" 파라오와 우리의 결정적 차이는 이 질문을 던지는 태도에 있습니다. 자신의 완악함을 인지하고 괴로워하는 자에게 하나님은 파멸이 아닌 연단을 선물하십니다. 하나님은 당신의 존재를 밟고 일어서려는 자를 내버려 두어 심판하시지만, 고집을 부리면서도 하나님을 놓지 못하는 자녀는 그가 딛고 선 아집의 다리를 무너뜨려서라도 품으십니다. 우리에게 주어지는 고통은 우리를 부수기 위함이 아니라, 딱딱하게 굳은 자아를 녹...